광고
광고
로고

'유비와 제갈량' Leadership

'살며 생각하며'

송면규 | 기사입력 2019/03/19 [22:42]

'유비와 제갈량' Leadership

'살며 생각하며'

송면규 | 입력 : 2019/03/19 [22:42]

사람들은 진수 선생이 집필한 '삼국지'와 나관중 선생이 집필한 '삼국지연의'를 적어도 한번쯤은 접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삼국지를 세 번 이상 읽지 않은 사람하고는 대화도 하지 말라'할 정도니 삼국지의 위력은 정말 대단하다고 봅니다.

 

특히 '지도자 꿈을 꾸고 있는 젊은이'라면 유비가 조조에 밀려서 형주로 쫒겨와 창업 정신마져 빛이 바래가고 있다가, 어떻게 재기의 발판을 구축했는지 삼국지를 읽으면서 많은 내공을 축적할 수 있길 희망합니다.

 

삼국지를 대하면서 유비가 제갈량과 어떤 관계를 설정했는지? 그리고 그 둘이 어떻게 해서 삼국통일의 대업이 가능했는지? 살펴보면 흥미롭습니다. 특히 유비 사후에 공명의 유선에 대한 충성심은 '약속' 즉 '신의'에 대한 큰 가르침을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유비와 제갈량' 리더십을 생각해봅니다.

유비는 한 제국의 황숙이라는 명분 하나로 관우, 장비와 '도원 결의'를 하고 함께 창업을 선언했지만 중앙 정권을 장악한 조조, 지방에 근거를 둔 원소 등 호족들 틈바구니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전전긍긍합니다.

당연히 유비는 관우, 장비 말고는 어떤 인적 물적 기반조차 없어 물적 인적 기반이 풍부한 조조, 원소 그리고 강동의 손씨와 상대조차 않됐기 때문에 실패를 거듭하게 됩니다.

여기서 유비는 자신의 지난 날을 되돌아보며 누구보다도 '자신이 변해야 만 한다'는 변신의 필요를 강하게 느꼈고, 특히 인적 집단의 보강없이는 자신의 대업을 이루기는 커녕 생존자체도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절감하게 됩니다.

'삼고초려'하는 여러 복잡한 과정을 거쳐 비로소 제갈량을 만나게 되는데, 제갈량의 '천하삼분의 계책'에 못마땅해 하는 관우, 장비를 향해 "나에게 '공명'이 있는 것은 물고기가 물을 만난 것과 같은 것이다"하면서 '두번다시 시비걸지 말라'며 두 동생의 시비를 정리합니다.

분명 공명은 난세에 목숨이나 부지하려고 밭을 갈고 있는 사람이 아닙니다. 관중, 악의에 비유할 만큼 가슴 속의 포부가 원대한 인재였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정황을 볼 때 제갈량과 유비의 만남에는 분명 '서로 통하는 무엇인가가 있지 않았을까' 추정됩니다.

따라서 어떤 분야에서건 지도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사람과 뜻을 같이 하는 사람은 자신을 인재라고 평가해주는 사람을 위한 제갈량의 노하우를 배울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제갈량은 유비가 눈바람을 무릅쓰고 문 앞에까지 찾아와서 요청함에도, 문을 닫고 있습니다. 당사자를 만나지 못함에도 한 번도 아니고 두 번, 세 번 찾아오게 만드는 제갈량의 '고거고타' 책략과 또 자존심을 묻고 거듭 찾아가는 유비, 둘 다 대단한 인물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데, 왜? 유비는 주변에서 들려오는 여러 인재 중 '봉추'보다 '와룡'(제갈량)을 삼고초려하면서까지 먼저 찾았을까요? 황숙이 자존심을 굽혀가면서까지 말입니다.

 

특히 한 국가의 지도자가 되겠다는 사람은 유비 같은 배포로 자발적으로 인재를 찾아 '삼고초려'하는 리더십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을 과감하게 통째로 변신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지도자 꿈을 좆는다면 자신도, 주변에 있는 사람도 피곤하기만 합니다. 결과는 당연히 '도루묵'입니다

 

지도자는 "큰 나무 아래서는 작은 나무도 자랄 수 있지만, 풀밭 아래서는 이끼만 자랄 뿐이다"는 격언을 교훈삼아, '필요가 사람을 움직이게 한다'고 하는 '수구추동'의 마음가짐을 가져야 주변에 인재가 모인다는 사실을 명심, 또 명심해야 합니다.

<살며 생락하며> 글을 쓰고, 전공서적을 집필하면서 색소폰 연주를 취미 생활하고 있습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교육 많이 본 기사